리뷰

PCI타입 유선 랜카드는 내가 책임진다, 아이피타임 PX2500SE & PX1000SE


  • 신근호 기자
    • 기사
    • 프린트하기
    • 크게
    • 작게

    입력 : 2024-05-17 14:36:02

    대부분의 PC 메인보드에는 랜카드가 포함되어 있다. 그렇다며 유선 랜카드는 이제 따로 사서 쓸 일이 없을까? 꼭 그렇지는 않다. 살다 보면 유선 랜카드를 따로 구입해서 장착해야 할 일도 있다. 메인보드 유선랜이 고장났거나, 혹은 신뢰할 수 없는 상황이 있다.

    메인보드 유선랜이 고장난 상황에서 메인보드 교체를 최후의 수로 본다면, 결국 가장 쉬운 해결 방법은 유선 랜카드를 교체하는 것이다. 혹은 메인보드 유선랜카드가 연결이 자꾸 끊어졌다 재연결되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도 유선 랜카드를 따로 써주면 좋다.

    유무선공유기 제조사 이에프엠네트웍스가 이에 맞춰 어느 상황에나 대응할 수 있는 유선 랜카드 아이피타임(ipTIME) PX2500SE과 PX1000SE 2종을 새롭게 출시했다.

    2.5기가, 1기가를 책임진다

    기가비트 인터넷이 표준인 세상이 됐다. 어떤 메인보드를 구매하더라도 유선랜 속도는 대부분 최소 1기가비트 이상은 된다. 그런 이유로 유선랜 사용 중 고장났다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유선랜카드가 1기가 랜카드다. 이 정도면 되어도 기존 시스템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다.

    하지만 빠른 속도가 필요하다면? 유선 인터넷 회선이 빠른 곳으로 이사를 간다면? 이럴 때 메인보드 교체를 하지 않고도 아주 빠른 속도를 활용하고 싶을 때가 있다. 2.5Gbps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환경에서 제 성능을 내고 싶다면 2.5기가 랜카드가 필요하다. 과거 사용하던 100Mbps 인터넷과 비교하면 무려 25배 빠를 정도다.

    ▲ 아이피타임 PX2500SE 패키지 구성품

    ▲ 아이피타임 PX1000SE 패키지 구성품

    아이피타임이 선보인 랜카드는 EFM ipTIME PX2500SE(이하 PX2500SE), EFM ipTIME PX1000SE(이하 PX1000SE) 2종이다.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 PX2500SE는 2.5기가 랜카드(최대 2.5Gbps), PX1000SE는 1기가 랜카드(최대 1Gbps)다.

    두 유선 랜카드는 다 PCI-Express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칩셋도 리얼텍이라 무난하고 호환성과 안정성도 검증됐다. PX2500SE는 리얼텍 RTL8125, PX1000SE는 리얼텍 RTL8111이다. IEEE 802.3, 802.3u, 802.3ab 등 네트워크 표준을 지원한다.

     ▲ PX2500SE는 2.5G 인터넷을 지원한다

    ▲ PX1000SE는 1G 인터넷을 지원한다

    장착도 간단하다. 기존 PC에서는 PCI-Express 슬롯에 장착하기만 하면 된다. 다양한 환경에도 대응한다. 미니 PC나 슬림 PC에서도 동봉되는 LP 브라켓을 활용해 장착해 장착할 수 있다. 방열판도 달려 있어 따로 발열 걱정을 할 필요도 없었다.

    ▲ PX2500SE는 방열판이 달려 있고 LED 인디케이터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PX1000SE는 방열판이 없고 제품 내부에 LED가 있다

    진입장벽이 낮은 유선 랜카드로 간단히 고민 해결

    만약 메인보드 유선랜이 고장났는데, 이를 해결할 용도로 떠올린 유선 랜카드의 가격이 비싸다면? 포기하고 그냥 메인보드를 교체하는 경우도 있다. 즉 유선 랜카드는 적절한 가격대로 설정해야 한다. 가격 경쟁력이 아주 중요하다.

    다행히 PX2500SE, PX1000SE는 상당히 저렴한 편이다. 2024년 5월 10일 가격비교사이트 기준으로 PX2500SE는 14,900원이며 PX1000SE는 7,900원이다. 이 정도면 별생각 없이 가볍게 구매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PX2500SE는 방열판을 장착해 발열을 해결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즉 구매하기 쉽고 성능도 괜찮은 유선 랜카드가 필요하다면 PX2500SE와 PX1000SE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베타뉴스 신근호 기자 (danielbt@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