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소식

유니스트(UNIST)-POSTECH 연구진, 생체내 기저막 모사하는 나노섬유 멤브레인 개발


  • 박현 기자
    • 기사
    • 프린트하기
    • 크게
    • 작게

    입력 : 2023-02-15 08:37:44

    ▲ 이번 연구에 참여한 연구진의 모습. 왼쪽부터 포스텍 김동성 교수, UNIST 최정원 연구원, 포스텍 윤재승 연구원, UNIST 박태은 교수. ©(사진제공=UNIST)

    인간 혈액-뇌 장벽 모사해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활용…Biomaterials 게재 

    [울산 베타뉴스=박현 기자] 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교수 연구팀과 POSTECH(총장 김무환) 기계공학과 김동성 연구팀은 생체 기저막을 모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활용한 기능성 혈액-뇌 장벽 모델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현재까지 많은 혈액-뇌 장벽 모델이 개발됐지만 생체의 복잡하고 정교한 기저막 모사의 어려움 때문에 주로 플라스틱 소재의 다공성 막이 사용됐다. 하지만 물리적 구조적 큰 차이로 인해 세포에 생체와 같은 환경을 제공해주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위해 UNIST-POSTECH 공동연구팀은 생체내의 기저막을 모사하는 나노섬유 멤브레인(nanofiber-assisted ultra-thin ECM hydrogel-based engineered basement membrane; nEBM)을 개발했다. 개발된 인공기저막은 생체친화적인 소재인 실크피브로인(Silk fibroin)과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PCL)으로 만들어진 수십~수백 나노미터 직경의 나노섬유 지지체와 콜라겐 등의 기저막 유래 하이드로젤로 구성됐다. 이는 혈액-뇌 장벽의 생체 기저막과 같은 얇은 박판의 3d 섬유구조를 가지며 플라스틱 다공성 막에 비해 백만배 낮은 수준의 기계적 강성을 가졌다.

    ▲ 나노섬유 기반의 인공기저막을 활용한 기능성 혈액-뇌 장벽 모델의 구축. ©(사진제공=UNIST)

    연구팀은 개발된 나노섬유 멤브레인에 인간 줄기세포에서 유래한 혈관내피세포, 별아교세포와 혈관주위세포를 공배양해 인체 혈액-뇌 장벽의 생체 장벽 기능이 모사된 체외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축했다. 이는 기존의 플라스틱 소재 다공성 막을 사용한 모델에 비해 약 2배 이상의 높은 물리적 장벽을 갖춤과 동시에 혈액-뇌 장벽의 큰 기능중 하나인 BCRP, MRP 와 같은 약물 배출 단백질의 활성을 보였다. 연구팀은 세포가 나노섬유 멤브레인이 모사한 기저막의 물리적, 생화학적 자극에 반응해 향상된 기능을 보임을 검증했다.

    본 연구는 2022년 12월 23일 ‘바이오머터리얼즈(Biomaterials)’ 저널에 온라인 게재됐다.


    베타뉴스 박현 기자 (ph9777@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http://m.betanews.net/1390971?rebuil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