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SK하이닉스, 스탠포드대학과 두뇌 닮은 미래 반도체 개발한다


  • 이환
    • 기사
    • 프린트하기
    • 크게
    • 작게

    입력 : 2016-10-13 16:13:33

    SK하이닉스가 미국 미국 스탠포드대학교와 함께 인간의 두뇌 구조를 닮은 반도체 개발에 나선다.

    SK하이닉스는 13일, 스탠포드대학교와 강유전체 물질을 활용한 ‘인공신경망 반도체 소자 공동 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했다.

    반도체 장비업체 램 리서치, 재료업체 버슘 머티리얼즈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이번 프로젝트를 계기로 SK하이닉스는 향후 뉴로모픽(뇌신경 모방)칩 개발을 위한 전기를 마련하겠다는 의도다.

    뉴로모픽칩은 인공신경망 반도체 소자를 기반으로 사람 뇌의 사고과정을 모방한 반도체다. 최근 빅데이터 시대에 방대한 양의 데이터 중 기계가 쉽게 인식하기 어려운 비정형적인 문자나 이미지, 음성, 영상 등도 뉴로모픽칩을 통해 효율적으로 처리 가능하다.

    또 기존 뉴로모픽 컴퓨팅의 과도한 하드웨어 사용에 따른 속도 감소, 전력 소비 증가와 같은 단점도 보완 가능하다.

    ©

    이번 공동연구는 기존 컴퓨팅 방식이 갖는 정보처리 양과 속도 한계를 뛰어넘는 중요한 출발점이다. 현재 시스템에서는 입력한 명령이 CPU나 AP 등 로직 반도체를 지나 D램이나 낸드플래시와 같은 메모리반도체로 전달돼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반면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인공신경망 반도체 소자를 개발하고 이를 뉴로모픽칩까지 발전시킬 경우, 궁극적으로 메모리반도체의 기능과 함께 시스템반도체의 연산 능력까지 갖춘 신개념의 컴퓨팅 시스템도 나올 수 있다. 외부에서 명령을 받아들였을 때 사람의 뇌와 같이 동시다발적인 연산과 정보처리가 컴퓨터 칩으로도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칩 개발을 위해 기초가 되는 핵심 물질 중에 하나가 강유전체다. 강유전체는 전압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분극(Polarization)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물질이다. 분극은 전기를 유전체에 흘려 음극(-)과 양극(+)을 만드는 것인데, 데이터 저장 기본 구조인 ‘0’과 ‘1’을 인식할 수 있다는 뜻이다.

    아울러, 강유전체는 전압 크기의 변화에 따라 분극 상태를 부분 조절할 수도 있어 데이터를 단순히 0이나 1로 구분하는 것보다 다양한 상태로 기억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SK하이닉스와 스탠퍼드는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해 인공신경망 반도체 소자를 개발하고, 이를 뉴로모픽칩 연구에 활용할 방침이다.

    홍성주 SK하이닉스 미래기술연구원장(부사장)은 “이번 공동연구는 소자·공정·장비·재료·설계 등 각 참여자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해 인공신경망 반도체 소자의 개발을 가속화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베타뉴스 이환 (press@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http://m.betanews.net/646389?rebuil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