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ipTime A1000UA, 간단하고 빠른 무선연결을 즐기자


  • 안병도
    • 기사
    • 프린트하기
    • 크게
    • 작게

    입력 : 2013-09-09 14:41:39

    닭 잡는 데 소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다는 말이 있다. 필요 이상으로 비싼 도구를 쓰거나 정작 필요한 기능은 한 가지 뿐인데 여러 기능이 잔뜩 들어간 장비를 구입할 때 종종 이런 비유를 든다.

     

    IT기술이 발달하면서 점점 네트워크 연결이 중요해졌다. PC와 노트북은 물론이고  스마트폰, 태블릿까지 그렇다.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고는 제대로 쓸 수 없기 때문이다. 이제 유무선공유기는 직장과 가정의 필수제품이다.

     

     

    하지만 때로는 유무선공유기만으로 부족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PC가 다른 방에 하나 더 생겼는데 유선으로 연결하기는 귀찮다면? 이럴 때 유무선공유기를 하나 더 사는 건 낭비다. 돈도 많이 들지만, 항상 켜놓는 유무선공유기의 특성으로 인해 전기도 많이 필요하다. 이럴 때는 간단히 USB단자에 꽂아서 쓰는 무선랜 카드가 알맞다. 닭 잡는 데는 닭 잡는 칼을 쓰면 되는 것이다.

     

     

    아이피타임(ipTIME)이 내놓은 무선랜 카드 A1000UA는 바로 이런 필요에 맞춰서 나왔다. 특히 이 제품은 최신기술인 802.11ac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차세대 무선기술로 지금 막 보급되고 있는 802.11ac는 5GHz 대역에서 높은 속도의 근거리 통신망을 만들어주는 표준이다.

     

    802.11ac는 최대 433Mbps의 속도가 나온다. 이전 기술인 802.11n의 최대속도 150Mbps보다 훨씬 빠르다. 속도가 생명인 네트워크 장비에서는 당연히 시선을 모은다.

     

     

    A1000UA는 주파수 대역 두 개를 사용한다. 2.4GHz와 5GHz인데 5GHz쪽이 더 많은 채널을 주면서도 다른 장비와의 혼신이 적어서 시원하다. 그리고 802.11ac이전의 표준규격인 802.11n에서는 채널 여러 개를 묶어서 전송하는 기술을 써서 최대 150Mbps의 속도를 낸다.

     

    전체  디자인을 보자. 작고 가벼우면서 매끄러운 편이다. 이런 형태의 무선랜 카드로서는 가장 최적화한 디자인이다. 다만 수신감도를 높이기 위해 본체와 비슷한 길이의 안테나를 외부에 달았다.

     

     

    성능에서의 특징이라면 더 넓어진 수신거리와 WPS버튼이 있다. 전파도달거리가 넓어서 넓은 집 안에서도 무선만으로 충분한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WPS버튼은 누르는 것만으로 무선랜카드와 간단히 연결할 수 있다.

     

    패키지에 들어있는 USB크래들도 유용하다. 컴퓨터에 무조건 가까이 장착할 필요 없이 무선감도가 좋은 곳에 크래들 채로 놓으면 된다.

     

     

    실제 성능은 어떨까? 현재 가정용 광랜의 최대속도가 100Mbps를 넘지 않는다. 802.11ac의 433Mbps속도는 인터넷보다 빠르다. 따라서 이런 상황에서는 무선에 연결된 기기를 연결해서 최대속도를 측정해야 한다. 하지만 유무선공유기나 무선랜 카드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직접 연결을 통한 전송을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다. 클라우드 서비스나 NAS가 발달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인터넷 전송속도를 얼마나 따리가는 가는 지가 오히려 실용적인 테스트가 될 것이다. 관련 측정을 해보았다. 여기에 사용한 공유기는 같은 회사의 아이피타임(ipTIME) A104NS 로서 802.11ac를 잘 지원한다.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정도면 실제로 광랜에서 내주는 속도를 그대로 전달한다고 봐도 좋다. 더 이상 올라갈 데가 없는 속도를 원활하게 전해주기에  그만큼 쓸모있다.

     

    A1000UA는 연결이 간단하고 사용하기 쉽다. 전기를 절약하면서도 빠른 무선연결을 쓸 수 있다. 우리 모두 이 제품을 통해 저렴한 가격으로 즐거운 인터넷 생활을 즐겨보자. 


    베타뉴스 안병도 (catchrod@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http://m.betanews.net/583124?rebuil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