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의료

서울대병원, 염증인자 ‘리지스틴’ 인간 당뇨병 발생 기전 발표


  • 강규수 기자
    • 기사
    • 프린트하기
    • 크게
    • 작게

    입력 : 2024-04-17 11:39:41

    ▲2024.04.17-서울대병원, 염증인자 (리지스틴) 인간 당뇨병 발생 기전 발표 [표 설명]=비만 시 지방조직에는 엔도카나비노이드 물질 (2-AG)가 누적됨. 이로 인해 수용체 CB1을 가진 단핵구가 침투한 뒤 고농도 리지스틴을 분비하여 심각한 염증반응을 야기하고, 그 결과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켜 당뇨병을 유발함.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병원장 김영태)은 순환기내과 김효수 교수팀(양한모 교수, 김준오 연구교수)이 다양한 세포분석을 통해 ‘리지스틴’ 분비 기능과 CB1 수용체를 동시에 가진 인간 단핵구세포를 발견하고, 이 세포가 비만으로 인한 당뇨병 발병에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인간화 생쥐모델을 통해 증명해 15일 발표했다.

    연구팀이 인간 단핵구세포를 분석한 결과, 일부 단핵구는 엔도카나비노이드 시스템의 핵심 요소인 CB1 수용체와 리지스틴 분비 능력을 동시에 갖추고 있는 ‘CB1/리지스틴 2중-양성’ 세포였다.

    이 단핵구가 가진 CB1 수용체가 엔도카나비노이드 물질(2-AG)과 결합하면 세포 내 신호전달체계(p38/SP1)가 활성화되며 리지스틴이 방출됐다.

    특히, 이 단핵구는 2-AG와 결합하는 ‘CB1 수용체’를 보유하기에 2-AG가 누적된 조직에 침투할 수 있었는데, 침투한 후에는 리지스틴을 고농도로 분비하여 해당 부위에 염증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세포분석을 통해 확인됐다.

    ▲2024.04.17-서울대병원, 염증인자 (리지스틴) 인간 당뇨병 발생 기전 발표 [표 설명]=CB1-리지스틴 2중-양성 단핵구 해부도. 이 단핵구가 2-AG를 만나면 P38/SP1 신호전달체계를 통해서 리지스틴이 발현함. 이 단핵구는 비만상태에서 간, 근육, 지방조직에 누적된 2-AG에 침윤하고 이후 리지스틴을 대량 방출하여 염증으로 인한 조직 손상을 일으킴. 이로써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고 당뇨병이 발병 ©서울대학교병원

    이 단핵구가 실제로 인간 당뇨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팀은 인간화 생쥐모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골수 이식을 통해서 인간 단핵구를 가진 생쥐 및 유전자 조작을 통해 인간 리지스틴이 발현되는 생쥐를 대상으로 8주간 고칼로리 음식을 투여한 후, 인슐린이 작용하는 3대 목표 장기인 근육·간·지방조직에서 ▲2-AG 수준 ▲CB1 농도 ▲리지스틴 농도 ▲인슐린 작용 등을 측정했다.

    그 결과, 고칼로리식을 섭취한 인간화 생쥐는 근육·간·지방조직의 2-AG 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CB1 수용체를 가진 2중-양성 단핵구가 많이 침투하여 리지스틴을 분비했고, 목표 장기의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구조가 파괴되고 인슐린의 작용이 감퇴하는 인슐린 저항성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엔도카나비노이드 시스템과 연결된 2중-양성 단핵구세포가 말초혈액을 순환하다가 2-AG가 많이 누적된 목표 장기에 침투해 리지스틴을 분비하고, 미토콘드리아를 파괴해 인슐린 저항성과 당뇨병을 유발함을 증명함으로써, 인간에서 비만으로 인한 당뇨병의 발생기전을 새로이 규명했다”고 강조했다.

    ▲2024.04.17-서울대병원, 염증인자 (리지스틴) 인간 당뇨병 발생 기전 발표 [사진 왼쪽부터]=순환기내과 김효수·양한모 교수, 김준오 연구교수. ©서울대학교병원

    또한, 연구팀은 엔도카나비노이드 수용체 차단제(SR141716) 투여 후에는 고칼로리식으로 인해 증가한 2중-양성 단핵구의 침투가 차단됐으며, 그 결과 지방조직에서 리지스틴 농도가 낮아지고 염증이 가라앉는 양상이 관찰됐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연구중심병원 프로젝트 지원으로 이뤄졌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의 자매지인 ‘RESEARCH(IF=11.0)’ 온라인판 최신호에 게재됐다.


    베타뉴스 강규수 기자 (health@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http://m.betanews.net/1464518?rebuil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