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서울대 이성중 교수팀, 코로나19 감염환자 정신적 후유증 원인 학계 보고


  • 강규수 기자
    • 기사
    • 프린트하기
    • 크게
    • 작게

    입력 : 2022-04-22 09:07:33

    ▲2022.04.22-서울대 이성중 교수팀, 코로나19 감염환자 정신적 후유증 원인 학계 보고 [표]=코로나바이러스-19 스파이크 단백질을 뇌내 투여 후 발생하는 정신적 후유증과 발생기전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이성중 교수팀 (신경면역네트워크연구실)은 코로나바이러스-19에 노출된 환자의 인지장애 및 정서장애의 원인이 코로나바이러스-19의 ‘스파이크 단백질(Spike protein, S1 protein)’에 의한 해마 내 신경세포의 사멸 때문이란 사실을 밝혀 최근 학계에 보고했다.

    연구진들은 코로나바이러스-19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코로나19 환자에서 관찰되는 정신적 후유증의 원인으로 주목했다. 먼저, 스파이크 단백질과 정신적 후유증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스파이크 단백질을 실험용 마우스의 뇌 해마영역에 직접 투여하고 행동실험을 진행하였을 때, 인지능력이 감소하고 불안증세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스파이크 단백질을 주입받은 마우스의 뇌를 조직학적 측면에서 조사한 결과, 해마영역의 신경세포 수가 크게 감소하였고, 신경교세포 (neuroglia)가 활성화 되어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스파이크 단백질에 의해 활성화된 신경교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1베타 (Interleukin-1β)의 발현 및 분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들은 추가 연구를 통해 인터루킨-1베타에 대한 항체가 해마신경세포의 사멸을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스파이크 단백질에 의한 해마신경세포의 사멸은 신경교세포에서 분비된 인터루킨-1베타가 관여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2022.04.22-서울대 이성중 교수팀, 코로나19 감염환자 정신적 후유증 원인 학계 보고 [표]=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이성중 교수 ©서울대학교

    이번 연구결과는 코로나바이러스-19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뇌 내에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신경교세포의 면역반응을 유도해서 신경세포의 사멸 및 정신적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며, 연구책임자인 이성중 교수는 본 연구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남을 커다란 상흔(傷痕)에 대한 새로운 치료표적을 제시함과 동시에 향후 치료법 개발에 대한 기틀을 닦는 매우 중요한 연구가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베타뉴스 강규수 기자 (health@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http://m.betanews.net/1327333?rebuil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