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소식

중소형에 역세권까지 갖추니 흥행... ‘루원 지웰시티 푸르지오’ 공급


  • 전소영
    • 기사
    • 프린트하기
    • 크게
    • 작게

    입력 : 2019-06-21 10:00:02

    분양 시장에서 역세권 중소형 아파트는 스테디셀러로 꼽힌다. 경제적 부담이 적은데다 역 주변에 위치해 생활이 편리하고 미래가치까지 높아 실수요자에게 인기가 높기 때문이다.

    게다가 최근에는 정부가 부동산 규제를 강화하면서 대출이 까다로워지고 가능한 금액도 줄어들자 경제적 부담이 낮은 중소형 단지에 더욱 많은 수요자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최근 공급되는 중소형 아파트들이 4베이를 비롯해, 다양한 수납공간 등을 선보이고 있어 공간효율성이 높아진 점도 흥행에 성공하는 이유다.

    실제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6월 14일까지 분양한 전국 아파트 중 청약경쟁률 두자리수 이상을 기록한 상위 300개 주택형을 분석한 결과 207개가 전용면적 85㎡ 이하의 중소형인 것으로 조사됐다.

    청약경쟁률이 높은 단지 중에는 역세권까지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면적별 기준 청약 경쟁률 2위를 차지한 ‘동대구역 우방 아이유쉘’의 경우에는 지난 1월 진행한 1순위 청약에서 전용 84.98㎡D 타입이 485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 단지는 경부선과 대구지하철 1호선 동대구역이 단지 바로 앞에 위치해 있다. 또 같은달 청약을 진행한 ‘e편한세상 청계 센트럴포레’의 전용 51.96㎡는 279.5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이 단지는 서울지하철 1호선과 2호선이 지나는 신설동역이 인접해 있다.

    부동산 전문가는 “부동산 규제로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시장 전환이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중소형 아파트 선호현상은 더욱 두드러질 것”이라며 “중소형에 역세권까지 갖춘 단지들은 부동산 시장이 불황인 시기에도 시세 변동이 적고, 호황기에는 시세 상승의 폭이 커 실수요뿐만 아니라 투자수요까지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인천 서구 가정동 루원시티 주상복합 3블록에서 분양 중인 ‘루원 지웰시티 푸르지오’ 역시, 중소형 규모를 갖춘 역세권 단지여서 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단지는 지하 3층~지상 최고 49층, 5개 동, 총 778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전용 84㎡ 단일면적으로만 구성된 중소형 아파트다.

    여기에 단지가 인천지하철 2호선 가정역 초역세권에 위치해 있으며, 두정거장 거리에 위치한 석남역으로 서울지하철 7호선이 2020년 개통예정이어서 강남 접근성은 더욱 개선될 전망이다. 또, 7호선 청라연장선 루원시티역(가칭, 2021년 착공예정)도 도보권에 계획돼 있어 향후 더블역세권을 누릴 수 있다.

    중소형 역세권에 대한 수요자들의 선호도는 ‘루원 지웰시티 푸르지오’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5일(수) 진행한 ‘루원 지웰시티 푸르지오’의 1순위 청약접수 결과, 특별공급을 제외한 468가구 모집에 당해와 기타 포함 총 5,016명이 청약해 평균 10.72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며 전 주택형이 당해 마감한 바 있다.

    ‘루원 지웰시티 푸르지오’는 역세권 입지에 더해 주변으로 생활인프라가 풍부하다는 장점도 갖추고 있다.

    도보권에 가현초ㆍ중, 신현중ㆍ고, 신현북초 등이 위치해 안전한 통학환경을 갖췄으며, 문화공원과 가정공원이 인접해 있어 가벼운 산책 등을 즐기기에도 용이하다.

    루원시티 중심상업지구(예정)가 단지 바로 맞은편에 위치해 있고, 가정지구와 청라국제도시가 인접해 더블 생활권을 누릴 수 있다. 롯데마트 청라점, 홈플러스 청라점 등이 차량으로 10분대 거리에 위치해 있고, 청라국제도시에는 대형 유통시설인 스타필드(2022년예정)와 코스트코도 계획돼 있다.

    또, 현대제철, 두산인프라코어, GS칼텍스 윤활유공장을 비롯해 우림테크노밸리, 인천기계일반산업단지, 부평국가산업단지 등 여러 기업들과도 인접해 배후 주거지로서의 직주근접 수혜도 예상된다.

    굵직한 개발호재도 예정돼 있어 미래가치도 기대된다. 인천시는 최근 제2청사 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조사 용역을 재개하기로 했으며, 인재개발원과 종합건설본부, 도시철도본부, 보건환경연구원, 인천도시공사 등 8∼9개의 관공서와 산하기관의 입주를 검토 중이다.

    오는 24일(월)부터 26일(수)까지 정당계약을 진행한다. 견본주택은 인천시 서구 청라동 에 위치해 있으며, 입주예정일은 2022년 11월 예정이다.


    베타뉴스 전소영 (press@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http://m.betanews.net/1022103?rebuild=on